2025. 6. 19. 08:40ㆍ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살면서 우리는 참 다양한 정보와 의견을 접하게 됩니다. 때로는 어떤 이야기가 '진짜일까, 아닐까?' 하고 헷갈리거나, 섣불리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있죠. 특히 확실하지 않은 정보를 듣거나, 어떤 사실에 대해 '이게 맞을까 틀릴까?' 하고 상대방이 스스로 판단하도록 맡기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그것은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당신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라고 말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표현, "That may or may not be true, but you can decide that for yourself." 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이 문장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일상 대화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대화 예시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핵심 문장 분석: "That may or may not be true, but you can decide that for yourself."
이 문장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이해해 봅시다.
- "That may or may not be true...": "그것은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 may or may not (동사): '~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의미로, 어떤 가능성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불확실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be true: 사실이다.
- 이 부분은 특정 정보나 주장의 진위 여부에 대해 단정하지 않고, 양쪽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는 표현입니다.
- "but you can decide that for yourself.": "하지만 당신이 스스로 그것을 결정할 수 있다."
- but: 그러나 (앞 문장과 대조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 you can decide: 당신은 결정할 수 있다.
- for yourself: 스스로, 혼자 힘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결정한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 이 부분은 판단의 책임이나 권한을 듣는 사람에게 넘기면서, 개인적인 판단을 존중한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따라서 문장 전체의 의미는 "그것은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당신이 스스로 그것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그게 맞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판단은 네가 직접 하는 거야." 또는 "진실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스스로 판단해봐." 가 됩니다. 이는 어떤 정보나 의견에 대해 확실한 답을 주지 않으면서도, 듣는 사람의 주체적인 판단을 존중할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대화:
친구와 함께 SNS에서 본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정보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입니다.
- Jimin: 지민 (SNS에서 흥미로운 게시물을 봤습니다.)
- Seoho: 서호 (지민의 친구)
Jimin: Hey Seoho, check out this post I saw on Instagram. It says that drinking a glass of warm lemon water every morning can magically cure all kinds of diseases.
(지민: 야 서호야, 인스타그램에서 본 이 게시물 좀 봐. 매일 아침 따뜻한 레몬물 한 잔을 마시면 온갖 질병이 마법처럼 치료된대.)
Seoho: (Reads the post) Hmm, that's quite a claim. Sounds a bit too good to be true, doesn't it?
(서호: (게시물을 읽으며) 음, 엄청난 주장인데. 너무 좋아서 사실 같지 않은데, 그렇지 않아?)
Jimin: I know, right? My first thought was, 'Really?' But then some comments were saying it actually helped them.
(지민: 내 말이! 나도 처음엔 '진짜?' 이랬어. 근데 어떤 댓글들은 실제로 도움이 됐다고 하더라고.)
Seoho: Well, that may or may not be true, but you can decide that for yourself. Scientific evidence is always the best way to confirm things like that.
(서호: 음, 그게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판단은 네가 직접 하는 거야. 그런 건 과학적인 증거가 항상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지.)
Jimin: Yeah, you're right. I guess I shouldn't just believe everything I read online. I'll probably look for some more reliable sources.
(지민: 응, 네 말이 맞아. 온라인에서 읽는 모든 것을 그냥 믿으면 안 될 것 같아. 아마 좀 더 신뢰할 만한 출처를 찾아봐야겠어.)
Seoho: Good idea. It's always smart to be critical.
(서호: 좋은 생각이야. 비판적인 시각을 갖는 게 항상 현명해.)
대화 내용을 비디오로 보고, 듣고 따라 해 보세요!
대화 분석:
- 지민은 SNS에서 본 다소 과장된 건강 정보에 대해 서호에게 이야기합니다.
- 서호는 그 주장이 '너무 좋아서 사실 같지 않다(too good to be true)'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 지민이 혼란스러워하자, 서호는 "That may or may not be true, but you can decide that for yourself." 라고 말하며 그 정보의 진위 여부를 단정하지 않고, 판단을 지민 스스로에게 맡깁니다. 이어서 '과학적인 증거가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하여, 지민이 합리적으로 판단하도록 유도합니다.
- 지민은 서호의 조언을 받아들여 더 신뢰할 만한 정보를 찾아보겠다고 합니다.
- 이 표현은 이처럼 불확실하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정보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상대방의 자율적인 판단을 독려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다른 비슷한 표현들:
- It might be true, or it might not. (그것은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 'may or may not' 대신 'might or might not'을 사용하여 가능성을 표현합니다.
- I can't say for sure if that's true or not. (그것이 사실인지 아닌지 확실히 말할 수 없다.) - 자신의 불확실성을 표현합니다.
- You'll have to make up your own mind about that. (그것에 대해서는 스스로 결정해야 할 것이다.) - 'decide for yourself'와 유사하게, 스스로 판단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 It's up to you to believe it or not. (그것을 믿을지 말지는 당신에게 달려있다.) - 믿음의 여부가 듣는 사람에게 달려있음을 명확히 합니다.
- Take that with a grain of salt. (그것을 너무 곧이곧대로 듣지 마라. / 적당히 걸러 들어라.) - 어떤 정보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라는 조언입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아닌지 판단해야 합니다. 오늘 배운 "That may or may not be true, but you can decide that for yourself." 라는 표현을 활용하여 불확실한 정보에 대해 현명하게 대처하고, 타인의 자율적인 판단을 존중하는 대화를 나눠보세요!
여러분은 어떤 정보를 접했을 때 이 표현을 사용하고 싶어지나요?